연혁

2001

– “여성이주노동자의 집” 설립 및 한국 최초의 이주여성쉼터 “외국인이주여성노동자의 집” 개소

– 이주여성 모성보호 지원 사업 시작

2002

–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이주여성 상담 프로그램 시작

– 여성이주노동자의 집 비영리민간단체 등록

– 국제결혼가정을 위한 생활 매뉴얼 발간

2003

– 이주여성을 위한 한국어교육시작

– “이주여성문제, 어떻게 볼 것인가?” 제1회 정책 심포지엄 개최

– 이주여성을 위한 성교육자료집 “내 몸의 주인은 나” 4개 국어로 출판

– 이주여성인권센터로 명칭 변경

2004

– 이주여성 삶의 이야기 “오! 꿈의 나라에서” 출판

– 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심포지엄

2005

–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사단법인 인가 (여성가족부)

– 여성부 최초의  “국제결혼 이주여성 지원사업” 위탁 수행

2006

– 이주여성 긴급전화 1577-1366 센터 개소 (여성가족부 위탁)

– 충북/부산지부 설립, 충북이주여성쉼터개소

– 국제결혼 부부 갈등 예방과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 시작

– 성/인종차별적 국제결혼중개업 광고 반대 캠페인

– 이주여성 전문 상담원 교육 시작

– 인신매매성 국제결혼 방지를 위한 아시아여성전략회의 주최 (7개국 초청)

– 다문화가족 갈등 예방과 해소를 위한 매뉴얼, “소통과 동행” 발간

2007

– 전남지부 설립

– 가정폭력 이주여성쉼터 “서울이주여성쉼터” 여성가족부 인가

– 유엔 UPR 보고서, 인종차별철폐위원회, 여성차별철폐위원회에 이주여성 인권 개선을 위한 의견서 제출.

– 인신매매성 국제결혼방지를 위한 베트남, 캄보디아와의 연대구축사업

– 정기 심포지엄 “다문화 트렌드 시대, 이주여성 정책과 운동 어디로 갈 것인가” 개최

2008

– 결혼이주여성 인권백서 “적응과 폭력 사이에서 이주여성 인권을 찾다” 발간 및 심포지엄

– 이주여성상담원교육원 인가와 전문가 상담교육 시작

– 전북지부 설립, 대구지부 개소, 전북이주여성쉼터 개소

– 결혼이주여성실태조사

– 사회통합 프로그램 이수제 반대 캠페인

– 국제결혼 희망자 사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(여성부용역)

2009

– 이주여성 당사자 역량강화 프로그램 시작

– 가정폭력 남편 살해 캄보디아 여성 구명운동 주관

– 인권으로 배우는 한국어 교재 발간

– 이주여성 당사자 활동가 교육과 매뉴얼 “자신만만” 발간

– 유엔인종차별철폐위원회에 의견서 제출

2010

– 가정폭력으로 살해당한 이주여성 추모제 시행

– “힘내라 친구야” 프로젝트 시작

– 필리핀 국제결혼 과정 및 귀국 후 사례 실태조사 실시

– 이주여성 상담소 울타리 개소

2011

– 차별금지법 제정 캠페인 시작

– 경남지부 설립, 창립10주년 기념행사

– 유엔 여성차별철폐회의를 통한 이주여성인권운동

– 남편 가정폭력으로 살해당한 이주여성 추모제 및 추모행진 주관  “더 이상 억울한 죽음이 없기를”

– 결혼이주민 체류권 보장을 위한 토론회

2012

– 이주여성을 위한 위기대응 노트 발간 및 교육

– 이주여성이 직접 제안하는 공공기관 서비스개선 프로젝트

– 가정폭력으로 사망한 이주여성 대응활동

– 이주여성 추모제 및 이주여성이 안전하게 살 권리확보를 위한 캠페인

– “영주자격 전치주의 이대로 좋은가” 토론회

– 유엔인종차별철폐위원회에 의견서 제출

2013

– 서울이주여성상담센터 개소 (서울시 위탁)

– 이주민 당사자가 제안하는 다문화정책플랜만들기

– 결혼이민자 비자 강화 대응활동

– 인권을 기반으로 한 이주여성 당사자 전문가 양성 및 사회안전망구축 프로젝트

– 쉼터 퇴소 이주여성 자립지원프로젝트 시작

– 베트남 귀환결혼이주여성 상담을 위한 현지 상담원교육

– 이주민 당사자가 제안하는 다문화정책플랜만들기와 심포지엄

2014

– 이주여성 사회교육원 개소(성폭력전문상담원교육원)

– 이주여성 추모제 “우리는 살해당하러 오지 않았다” 주관

– 결혼이주여성 노동실태 조사

– 결혼이주여성 노동경험분석-노동의 경합양상을 중심으로 심포지엄

– 정부의 다문화 정책 변화에 따른 이주여성 지원체계 방향 모색과 대응활동

– 유엔인권 이사회 인종차별 특보관 방한에 대응한 활동

2015

– 아동성폭력으로 인한 출산경험과 혼인취소 대응활동

– 실태조사 보고서 “폭력피해 이주여성의 자립, 가능한가?” 발간

– 이주여성상담소 법제화 가능성과 딜레마 토론회

– 이주여성을 위한 가정폭력상담원교육

– 2016 제 20대 총선 이주여성관련 의제제출

2016

– 아동성폭력으로 인한 출산경험과 혼인취소 사건 지원

– 이주여성을 위한 성폭력상담원교육

– 이주여성 분야 정책 제안

– 이주여성(통합) 상담소 법제화

– 농업분야 이주여성 노동자 성폭력 실태조사 및 책자 발간 공동작업

– 이주배경 아동 지원 사업시작

2017

– 관습에 의한 젠더 폭력과 혼인취소를 둘러싼 불평등 토론회

– 이주여성 체류권 실태조사 공동작업

– 이주여성을 위한 가정폭력상담원교육

– UPR, 사회권 심의 NGO보고서 제출 공동작업

2018

– ‘아무도 몰랐던 이야기 : 폭력 피해 이주여성들의 생존 분투기’ 발간

– ‘이주여성들의 #Me too’ 간담회 개최

– 이주여성을 위한 성폭력상담원교육

– 젠더폭력방지법 관련 대응 활동

– UN 인종차별 심의 관련 대응 활동

– 이주민커뮤니티 발굴 및 역량강화 지원

– 이주여성 성폭력 실태조사와 토론회 개최

2019

-‘이주여성 상습적 성폭력 가해자 무죄선고 재판부 규탄’ 기자회견

-폭력으로 의해 본국으로 귀환한 이주여성 지원방안 모색 및 지원

-UN권고로 돌아본 폭력피해 이주여성의 현주소와 개선방향 공동주최

-이주여성을 위한 가정폭력상담원교육

– 국가인권위, 인종차별 실태조사 연구

-‘차별에 기반한 다문화가족 자녀 비하 발언, 익산시장 규탄’ 기자회견, 집회, 국가인권위원회 진정서 제출 공동행동

– 남편에게 무차별 폭행당한 베트남 이주여성 보호 및 지원

– 한부모 이주여성과 자녀 관계증진 사업

한부모 이주여성과 자녀 관계증진 사업

2020

-‘이주현장의 목소리로 성, 인종차별에 맞서다’ 토론회 개최

-‘귀환이주여성 이야기’ 12회 기획 기사 연재

-코로나19 이주민 배제 및 차별 정책 반대, 공동 행동 및 기자회견, 정책제안

-코로나19로 인해 피해 이주민에게 방역물품과 1,747가구에게 긴급재난지원

-‘이주민 긴급 재난지원을 위한 토론회’ 개최

-이주여성을 위한 성폭력 전문상담원교육

-한부모 이주여성 역량강화 사업

-‘보험금을 노린 캄보디아 여성 사망사건 – 이주여성들, 할 말이 있습니다’ 기자회견

2021

 

  • 2021. 4 지부독립
  • 코로나19 이주민 지원
  • 한부모 이주여성 자립지원, 역량강화 지원
  • 인구증가를 위한 ‘농촌총각 장가보내기’ 추진한 문경시 국가인권위원회 진정 기자회견